카테고리 없음

리눅스 서버 설정 및 주요 명령어

3ggoyang3 2024. 9. 1.

파트너스 활동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.

리눅스 서버 설정 및 주요 명령어

리눅스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서버 운영의 중요한 부분입니다. 리눅스는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지만, 기본적인 설정 절차와 명령어는 대부분 공통적으로 적용됩니다. 이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를 처음 설정할 때 따라야 할 주요 절차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 설명합니다.

1. 리눅스 서버 설치

리눅스 서버를 설정하는 첫 단계는 운영 체제를 설치하는 것입니다. 다음은 기본적인 설치 절차입니다:

  • 설치 미디어 준비: 선택한 리눅스 배포판의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USB 드라이브나 DVD로 설치 미디어를 만듭니다. Ubuntu Server, CentOS, Debian 등이 인기 있는 선택입니다.
  • 설치 시작: 서버를 설치 미디어로 부팅한 후, 언어 선택 및 지역 설정을 완료합니다. 설치 마법사의 안내에 따라 디스크 파티셔닝, 사용자 계정 설정, 네트워크 구성 등을 수행합니다.
  • 패키지 설치: 기본 서버 역할에 필요한 패키지(예: OpenSSH 서버)를 설치하고, 설치가 완료되면 서버를 재부팅합니다.

2. 기본 서버 설정

리눅스 서버 설치 후, 다음과 같은 기본 설정을 수행해야 합니다:

2.1. 사용자 및 그룹 관리

서버의 기본 관리자를 설정하고, 필요한 경우 추가 사용자와 그룹을 설정합니다.

  • 새 사용자 추가: sudo adduser 사용자이름
  • 사용자 삭제: sudo deluser 사용자이름
  • 그룹에 사용자 추가: sudo usermod -aG 그룹이름 사용자이름

2.2. SSH 설정

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SSH를 설정해야 합니다.

  • SSH 설치: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OpenSSH 서버는 기본 설치되지만, 그렇지 않은 경우 sudo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 또는 sudo yum install openssh-server 명령을 사용해 설치합니다.
  • SSH 서비스 시작: sudo systemctl start ssh
  • SSH 서비스 자동 시작 설정: sudo systemctl enable ssh

2.3. 방화벽 설정

서버의 보안을 위해 기본적인 방화벽 규칙을 설정합니다.

  • UFW 설치(Ubuntu): sudo apt-get install ufw
  • 방화벽 활성화: sudo ufw enable
  • SSH 트래픽 허용: sudo ufw allow ssh
  • 특정 포트 허용: sudo ufw allow 80/tcp (HTTP 트래픽 예시)
  • 방화벽 상태 확인: sudo ufw status

3. 서버 업데이트 및 패키지 관리

리눅스 서버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.

  •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: sudo apt-get update (Debian 계열) 또는 sudo yum check-update (RHEL/CentOS)
  •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: sudo apt-get upgrade 또는 sudo yum update
  • 필요한 패키지 설치: sudo apt-get install 패키지이름 또는 sudo yum install 패키지이름

4. 주요 리눅스 서버 관리 명령어

서버를 관리하고 설정하는 데 유용한 주요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:

4.1. 시스템 관리

  • 서버 재부팅: sudo reboot
  • 서버 종료: sudo shutdown now
  •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보기: w 또는 who
  • 시스템 정보 확인: uname -a
  • 디스크 사용량 확인: df -h
  • 디렉토리 사용량 확인: du -sh 디렉토리이름

4.2. 프로세스 및 서비스 관리

  •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보기: top 또는 htop
  • 특정 프로세스 종료: sudo kill 프로세스ID
  • 서비스 시작: sudo systemctl start 서비스이름
  • 서비스 중지: sudo systemctl stop 서비스이름
  • 서비스 재시작: sudo systemctl restart 서비스이름
  • 서비스 상태 확인: sudo systemctl status 서비스이름

4.3.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

  • 디렉토리 생성: mkdir 디렉토리이름
  • 파일 복사: cp 원본파일 경로
  • 파일 이동: mv 원본파일 경로
  • 파일 삭제: rm 파일이름
  • 디렉토리 삭제: rm -r 디렉토리이름
  • 파일 권한 변경: chmod 755 파일이름

5. 결론

리눅스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서버 운영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. 서버 설치 후, 사용자 관리, SSH 및 방화벽 설정, 패키지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여 기본적인 서버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. 또한, 서버 운영 중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익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를 통해 리눅스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,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.

댓글